Ping of Death를 이해해보자.

위의 Ping을 발췌한 wireshark Request TTL(Time To Live)과 Reply TTL이 다름을 알 수 있다 .

위의 내용까지는 데이터 사이즈를 증가하여 발송해도 응답이 온 내용 결과 1개만의 메시지가 출력되는 데 실상은 전달되고 응답이 오는 패킷이 fragment된 갯수만큼 데이터를 채워서 전달한다 .

아울러 해당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서 보안 장비들에서는 특정 사이즈 이상의 Ping 패킷이 발생될 경우 차단하는 형태로 방어를 할 수 있는 부분들이다 .

Original full article is here : http://aofurkim.tistory.com/11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[CentOS] SELinux 설정 / 해제

[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] 2020년 1학기 전공 컴퓨터 보안 소개

인터넷진흥원, 12억 규모 클라우드 보안서비스 공모